조현병 뇌영상 표지들과 일반 인구에서 인지기능, 정신병리, 유전적 위험성과의 연관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1
작성일 2022-04-25 16:24 댓글 0건 조회 1,005회
관련링크
본문
제목: Schizophrenia Imaging Signatur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ognition, Psychopathology, and Genetics in the General Population
저널: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22
이 논문에서는 인구 수준에서 조현병 관련 표현형의 유병률과 중요성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 저자들은 최근에 두 개의 신경해부학적 표지로 보고된 넓은 범위의 감소된 회질 볼륨인 조현병-특징 1와 증가된 선조체 볼륨인 조현병-표지 2가 독립적인 조현병 환자 샘플에서 보고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평가하였고, 이러한 표지들의 표현형이 인구 수준에서 발견이 되는지, 그리고 얼마나 이러한 표지들이 인지기능, 정신증 스펙트럼 증상, 조현병 유전 위험성과 연관이 되는지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성공적으로 조현병의 신경해부학적 표지들을 재확인할 수 있었고, 청소년과 성인 표본을 기반으로 한 인구에서 유병률을 확인하였다. 연구진들은 나아가 정신증, 인지기능, 유전적 위험성과 이 표지들의 분명한 관계성을 증명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잠재적으로 신경생물학적 취약성을 반영한다.
- 이전글여러 정신 질환에 걸친 시상 연결 시스템: 현재 상태 및 임상적 시사점 22.04.26
- 다음글조현병에 대해 상당한 위험을 주는 10개 유전자의 희귀 코딩 변이체 22.04.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